본문 바로가기
반려동물

🦷 반려견 부정교합이란?

by 가장크게 빛나는 별 2025. 8. 7.
반응형

출처 - 국민일보

 

부정교합이란 상악(윗턱)과 하악(아랫턱)의 치아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맞물리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. 쉽게 말해, 강아지가 입을 다물었을 때 치아가 삐뚤게 맞물리거나 돌출되는 경우입니다.
이는 단순한 외형의 문제를 넘어서, 저작 기능, 턱 관절, 구강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파악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.


✅ 부정교합의 주요 유형

  1. 상하악 부정교합 (Skeletal Malocclusion)
    • 턱뼈 구조에 문제가 있어 생기는 교합 이상
    • 선천적으로 턱이 길거나 짧을 수 있음
  2. 치성 부정교합 (Dental Malocclusion)
    • 턱뼈는 정상이나, 치아의 방향이나 배열이 비정상적인 경우
    • 흔히 송곳니(견치)나 앞니에서 많이 나타남

✅ 부정교합의 원인

  1. 선천적 요인
    • 일부 견종은 두개골 구조상 부정교합이 흔함
    • 예: 시추, 페키니즈, 불도그, 퍼그 등 단두종(짧은 주둥이)
    • 이외에도 요크셔테리어, 말티즈, 토이푸들 등 소형견에서도 흔함
  2. 유치 잔존
    • 유치가 제때 빠지지 않고 남아 영구치의 정상적인 위치 성장을 방해
    • 특히 송곳니에서 자주 발생
  3. 외상 또는 턱 성장 이상
    • 어린 시절 턱에 충격이 가해지거나, 성장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
  4. 부적절한 씹는 습관
    • 너무 단단한 것을 씹다 보면 치아 배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

✅ 부정교합으로 인한 문제

  • 치은염 및 치주질환
    치아가 겹치거나 비정상적으로 돌출되어 플라그가 잘 낍니다.
  • 구강내 상처
    돌출된 송곳니가 잇몸, 입천장, 혀 등에 상처를 유발
  • 음식 섭취 불편
    사료를 잘 못 씹고, 삼키기 힘들어져 식욕 저하 발생 가능
  • 악관절 이상
    턱에 무리가 가면서 통증이나 관절 질환이 생길 수 있음

✅ 부정교합 확인하는 방법

보호자가 집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입을 다물었을 때 윗니와 아랫니가 제대로 맞물리는지 확인
  • 치아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돌출되어 있는지 관찰
  • 입안에 상처가 있는지 확인 (잇몸, 혀, 입천장)
  • 사료를 잘 씹지 못하거나, 먹는 데 불편함을 보이는지 관찰

➡️ 이상 징후가 있다면 동물병원에서 치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.


✅ 진단과 치료 방법

🩺 1. 전문 수의사의 구강 검진

정확한 교합 상태 확인을 위해 전신 마취 후 엑스레이 및 구강 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🦷 2. 치료 방법

  • 자연 경과 관찰
    경미한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지켜보기도 함
  • 유치 발치
    유치가 남아 있을 경우 조기 발치를 통해 영구치의 정상 위치 유도
  • 교정 장치(브레이스)
    치아 위치를 바르게 잡기 위해 수의 치과 전문의가 맞춤 제작한 교정기를 착용할 수 있음
  • 외과적 교정
    심한 골격 이상인 경우, 턱 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
  • 문제 치아 발치
    인접 치아나 구강에 손상을 유발하는 경우, 문제 치아를 제거

✅ 반려견 부정교합 관리 팁

  • 유치 시기(4~7개월)에 치아가 제대로 교체되는지 반드시 체크
  • 장난감은 너무 단단하지 않은 걸로 선택
  • 간식도 치아 배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, 지나치게 질긴 간식은 피하기
  • 6개월~1살 사이 정기 구강 검진 받기
  • 정기적인 치아 관리(양치질, 구강 세정제 등)로 구강 건강 유지

✅ 반려견 치아 건강, 국가 차원의 정보도 확인하세요


✅ 결론

반려견의 부정교합은 단순히 미용적인 문제가 아닙니다.
구강 상처, 식사 문제, 잇몸 질환, 턱 관절 장애까지 연결될 수 있는 만큼,
정기적인 구강 검사와 조기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.

만약 반려견이 사료를 잘 먹지 못하거나, 입을 벌릴 때 불편해 보인다면 치과 전문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
반응형